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저 | 헤르메스미디어 | 2008년 12월
내 어릿한 기억으로는 seri에서 추천도서 설문한 것 중에 들어있던 항목을 읽을 책에다 올려놓은뒤 제목이 좀 그럴듯(?)해서 빌려봤다. 그 그럴듯한 제목에 꽂혀서 빌린게 "빗방울처럼 나는 혼자였다"와 이 책이였음. 책은 어디서 많이 들어본듯한 사람이 저자였는데 드라마작가였다. 아쉽게도 나는 그녀의 드라마를 단 한편도 본적이 없다. 책은 무척이나 감상적이고 드라마를 좀 봤거나 연예인(이라기보다는 배우..)에 대해서 좀 알아야 이 책을 이해하는데 공감이 될 듯 하다. 그나마 공감이 되었던 이야기들은 영화쪽 감상을 쓴 부분. 요 얼마전에 봤던 (그나마 최근이네..) 유지태와 이영애가 나왔던 <봄날은 간다>와 꽤 오래전에 봤던 외쿡영화 <바그다드 카페>. 갑자기 그 바그다드 카페 영화 떠올리니 영화보다는 배경음악이 쫙 떠오르면서 사막에 가고 싶은 생각이 드네. ㅎㅎㅎ
이 책에서 딱 꽂힌것은 문장.
"아픈 기억이 많을수록 좋다. 작가는 상처받지 않는다. 모두가 글감이다"
가끔 내가 상처받고, 괴로웠을 때 나의 건실한 친구가.. 너의 글감에 좋은 소재가 될꺼라고 토닥토닥해줬는데, 과연 나는 글을 쓰게 될것인가? 그것은 나도 잘 모르겠다. 토닥여준 나의 친구는 글을 쓸 것이라고 선언했고 구체적인 구상과 긴 안목으로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수집하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나는 글 쓰기보다는 빠르게 읽는데 능력이 있는 것 같고, 너무나도 잘 써진 재밌는 책들이 많아서 쓰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 명저로 꼽히는 책들을 모두 보지도 않고 글을 써낸다는 것은 무언가 이율배반한다는 느낌이랄까?
작가는 자신의 이야기를 팔아먹는 직업인지라 내 이야기들이 많아야 하는데 나는 너무나도 틀에 박힌 전형적인 직장인이다. 확실히 요근래 내가 점심회식자리에서나 저녁회식자리에서 회 먹으면서 느낀 것이 그것. 특별히 여느 예술가처럼 고독하고 배고파서 울부짖은적도 없고, 사랑에 지치고 목말라서 울어본 적도 없고, 게다가 비정규직이라고는 하지만 여건이 나쁜 적이 별로 없었고, 가끔 내가 내 감정이 이렇게 메마른게 혹시 어린시절부터 사람에게 기대하고 살지 않아서 그런걸까 하는 생각과 더불어 나이 많은 사람이랑 많이 다닌 역효과가 아닐까 하는 생각.요 몇달 전에는 화가 나고 짜증이 났지만, 뭐 그런가보다 하는 별로 감정동요되지 않아하는 나를 내가 바라보면서 동생이 정상이 아닌것 같다고 했을 정도니..인생에 초연하다고나 할까? 감정동요가 과연 글쓰는데 좋은지 않좋은지 모르겠다.
얼마전 스님께서 올해는 내가 원하는것 꼭 한가지는 이루어진다고 했는데, 엄마가 뭐가 소원이냐고 물었을 때 현실적인 연봉인상, 승진, 결혼, 등단 이런게 아니였으니 나도 참 현실적이구나 했다. 그러다 간만에 본 TV에서 어느 연예인이 전국을 돌면서 내가 무엇을 하고 싶은가에 대해서 생각해보니 연기였다고 말하는 장면에서 내가 3년정도 살 수 있다면 무엇을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니 딱히 없었다. 슬픈건가? 그나마 글은 좀 써보고 싶다는 생각에 '그분이 내리셔서' 글을 써보니 그냥 또 써지더라. 글 쓰는 방법은 훌륭하신 작가님께 나중에 뵈면 물어봐야겠다. 취재가 꼭 필요한 것인지 기획을 해서 글을 써야 하는 건지. 어찌 알랴? 소설 투고해서 등단하면 그 돈으로 저번처럼 모여서 술마실지. 그럼 양주로 마셔야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