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을 뒤흔든 16가지 살인사건 : 과학수사와 법의학으로 본 조선시대 이야기
이수광 저 | 다산초당 | 2006년 09월
이 시리즈에 연애사건, 스캔들 등이 있는 것 같은데, 그런것들은 별로 관심이 안생기고 살인사건은 좀 궁금했다. 무원록이나 흠흠신서를 봐야 더 자세히 알겠지만, 국회도서관 소장 자료나 논문만 있는 것 같고 이런식으로 책으로 무원록이 편집되어서 나온 것은 이 책 뿐인듯. 책을 읽다보면 조선시대 불륜 스캔들로 유명한 이야기라고 소개된 것도 있고, 신분제도 때문에 현재에는 눈을 휘둥그릴 수 밖에 없는 이야기들도 담겨있다.
특히 노비가 첩이 되었는데, 그 첩을 시기한 나머지 본부인이 누명을 씌워 (다른 남자가 있다고 남편을 속임) 고문(?)을 하는데 그 고문이 끔찍할 정도. 인분을 먹일 정도였다니 신분제도가 계속 유지된 것이 신기할 정도였다. 게다가 뒷부분에 등장하는 사이비 교주 이야기는 요세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가끔씩 다루는 정보와도 비슷한 행태여서 인간이 속이는 본질과 행동 그리고 그 결과는 그다지 변하는 것이 없는 것 아닐까 생각을 해봤음.
가끔 어떤 고전 소설이나 이야기 혹은 어떤 흑백 영화를 접할 때 그 핵심이 되는 이야기의 구성과 패턴은 현대의 영화나 이야기와 너무나 닮아있다. 포장만 더 예쁘고 먹음직스럽게 한달까? 어떤 행동으로 인과관계는 그다지 다를 바가 없어서 흑백영화 보는 것이 즐겁다. 이 책도 그런의미에서는 재밌게 읽기는 했지만, 사건 중심으로 책을 읽는 나로써는 흥미진진하게 구성되어 있지는 않아서 좀 아쉬웠음.